2차 전지에 사용되는 물질과 구조는 대부분 정해져 있어서 특저 업체들과 거래를 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원료 수급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협력업체(파트너사)와의 관계 또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그러면 2차 전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어떤 기업들이 있는지 알아보시죠.
국내/외 소재별 기업의 Value Chain(공급망)
배터리(팩, 셀)
배터리사에 대해서는 대부분 잘 알고 계실 텐데요. 국내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이 있으며 해외의 주요 업체는 중국의 CATL, BYD 그리고 일본의 Panasnic이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의 주요 고객은 GM, Volvo, Tesla 등이 있으며 과거 현대차의 주요 배터리 공급사였지만 현재는 SK온으로 대부분 이동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Tesla에 원통형 배터리를 공급하게 되면서 크게 성장하고 있고 시장 점유율도 국내 기업 중에 가장 높아 기대를 모으고 있는 기업입니다. 삼성 SDI의 주요 고객사는 BMW, Volkswagen과 스텔란티스가 있습니다. 삼성 SDI는 다른 배터리 제조사와는 다르게 Pack형 배터리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Pack은 공간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용량 성능에서는 뒤처질 수는 있지만 그만큼 안정성을 높인 구조이기 때문에 안정성은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삼성 SDI는 시장 점유율을 공격적으로 늘리려고 하는 것보다는 이익률을 따져가면서 투자를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른 배터리 제조사 대비 투자 속도는 느린 편이지만 확실할 때 움직이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SK온의 주요 고객은 Mercedes-Benz, Ford가 있으며 최근 현대차의 배터리 공급비율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북미에 큰 투자를 감행하고 있으며 국내 배터리 기업중에 가장 공격적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국내의 각 배터리 제조 회사들은 급증하는 전기차에 대한 수요를 따라가기 위해 자동차 OEM과 공급계약을 체결하거나 JV(Joint Venture)를 만들어 협력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이 자동차 OEM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양극재 및 리튬 소재를 사전에 확보하도록 협력업체와도 장기계약을 체결하는 등 미래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가장 큰 배터리 제조사인 CATL은 중국 내수시장을 이용해 급성장한 기업입니다. 하지만 기술력도 크게 증가했고 주요 고객사는 Apple, Tesla를 포함한 중국 내수시장을 두고 크게 성장했으며 현재는 북미의 IRA로 인해 북미를 등지고 유럽을 집중 공략하고 있습니다. 독일에 진출하면서 독일 자동차 기업을 잡으려고 하고 있습니다. CATL은 현재 기술력이 낮은 편에 속하는 LFP(리튬인산철) 제품을 주력으로 생산하여 기술력을 높이고는 있지만 현재 대세는 NMC(삼원계 니켈 망간 코발트) 제품을 고객사에서 선호하게 되면서 입지가 좁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일본에서 가장 큰 배터리 기업은 Panasonic이 있습니다. 주요 고객사는 Tesla와 일본자동차고객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원통형 배터리를 내세워 테슬라와 거래를 시작하게 되면서 점유율을 크게 높인 기업입니다. 하지만 현재 LG에너지솔루션에서 원통형 배터리에 대한 개발 투자를 앞세워 테슬라가 제시한 배터리의 양산을 먼저 시작하면서 입지가 좁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양극재
양극재는 배터리의 성능을 좌지우지하는 가장 핵심 역할을 하는 재료입니다. 2차 전지 사업의 급성장으로 인해 주요 양극재 기업도 급격하게 성장하게 되었습니다. 우선 국내에서는 에코프로, 엘앤에프, 코스모신소재, 포스코케미칼이 있습니다. 에코프로는 삼성SDI와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양극재를 공급하면서 크게 성장했습니다 에코프로의 주요 생산제품은 NCA 양극재로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엘앤에프의 주요 고객사는 SK온으로 High Ni NMC를 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코스모 신소재는 LCO와 NMC 모두 생산하고 있으며 LCO는 주로 소형 전동기기에 사용하는 배터리이며 NMC는 EV, ESS 등의 대형 제품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포스코 케미칼은 처음엔 음극재로 시장에 진입했다가 현재는 양극재까지 시장에 진입하였습니다. 포스코 케미칼은 소재의 구매력을 바탕으로 급격하게 양극재 시장 점유율도 높여가고 있습니다.
해외의 양극재 기업으로는 유미코아와 니치아가 있습니다.
벨기에 기업인 유미코아의 경우 한국에도 자리잡아 국내 배터리 고객사와 거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NMC와 LCO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최근에 NCM811 제품을 양산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유미코아는 폭스바겐과 JV를 만들기로 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일본의 대표 양극재 기업인 니치아는 파나소닉을 고객으로 성장한 양극재 기업입니다. 국내 배터리 기업과 거래도 해왔지만 최근엔 국내 기업과의 거래량은 많지 않은 상황이며 파나소닉을 주요 고객으로 양극재를 납품하고 있습니다.
음극재
포스코켐텍(/포스코케미칼)이 국내 유일의 흑연계 음극재 생산기업이며 인조흑연을 활용한 음극재를 생산 중에 있습니다. 현재 음극재는 실리콘 음극재가 대세를 이루고 있어 실리콘으로 전환되는 과도기에 있어 양산화에 도전 중에 있습니다. 또 다른 음극재 업체로는 대주전자재료가 있는데 실리콘 음극재의 개발에 성공하면서 양산화하게되었고 포르쉐에 납품을 진행하면서 많이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그 외에 중국의 푸타이라이, 비티알, 샨샨 등이 있고 일본의 쇼와덴코가 있습니다. 이들 업체는 포스코켐텍보다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해액
전해액의 경우 우리나라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고 중국(궈타이화롱, 캡켐, 티엔치 등)에서 대부분 수입해오는 제품이었습니다. 이들 업체는 중국의 CATL과 LG에너지솔루션 등을 고객으로 두고 있습니다. 현재는 엔켐이라는 국내 업체에서 전해액 개발을 하면서 국산화에 성공하였고 현재는 LG에너지솔루션, SK온 등의 고객사와 거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일본 회사인 미쓰비시케미칼이 중국을 견제하며 전해액 시장에서 중국 업체들 다음인 4위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파나소닉, AESC, 삼성SDI를 고객으로 두고 있습니다.
분리막
분리막의 경우 일본 기업이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중국 기업인 SEMCORP가 점유율 1위이지만 2, 4, 6위 기업인 아사히카세이, 도레이, 더블스코프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3위 기업은 우리나라의 SKIET가 있으며 SK온을 등에 업고 기술력을 바탕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Battery Industry > Knowledge(관련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100의 의미과 참여 기업의 현황(대응방안 포함) (0) | 2022.10.25 |
---|---|
2차전지 - 양극재의 주요 생산 공정(리튬이온 배터리) (0) | 2022.10.24 |
차세대 2차 전지의 종류(리튬황, 소듐, 바나듐, 전고체 전지)와 특징 (0) | 2022.10.20 |
2차 전지(리튬 이온 전지)의 구조와 핵심 재료 (0) | 2022.10.19 |
댓글